[etcd backup & restore (1)]
ETCD : 분산 key:value 형태의 데이터 스토리지.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의 정보를 저장(memory)해서 사용.
모든 etcd 데이터는 etcd 데이터베이스 파일에 보관(/var/lib/etcd)
보통 HA 환경으로 3개 정도 운영함.(master도 3개)
static pod 형태로 동작.
ETCD Restore : snapshot으로 저장한 database 파일을 동작중인 etcd에 적용하여 snapshot 생성시점으로 되돌리기
1) snapshot 파일을 데이터베이스 파일로 복원
2) 동작중인 etcd pod의 구성정보를 복원된 데이터베이스 위치로 수정 적용
[etcd backup & restore (2)]
현재 etcd 버전 확인)
etcdctl version
ca 인증서 정보 확인)
ps -ef | grep kube | grep trusted-ca-file
cert 인증서 정보 확인)
ps -ef | grep kube | grep cert-file
key 정보 확인)
ps -ef | grep kube | grep key-file
etcd backup)
sudo ETCDCTL_API=3
etcd restore)
1) restore 작업시 새로운 경로에 restore 해줘야 함
ex) 기존 etcd가 /var/lib/etcd 였다면 restore시에는 /var/lib/etcd-new처럼 새로운 경로에 해줘야 함
-> etcd가 지금도 돌고 있기 때문
2) etcd의 database 경로를 새로운 경로로 변경한 후 pod 재시작
static pod는 yaml 파일이 수정되고 저장되면 자동으로 pod 재시작
1. restore 확인)
sudo docker ps -a | grep etcd
sudo ls /var/lib/etcd-new
sudo tree /var/lib/etcd-new
2. 현재 동작중인 etcd pod의 data 저장소를 /var/lib/etcd-new로 변경해서 pod 재시작하기)
sudo vi /etc/kubernetes/manifests/ etcd.yaml
파일 맨 아래 부분 hostPath의 path 부분을 수정하면 자동으로 restart됨
적용 확인하기)
sudo docker ps -a | grep etcd
'CONTAINER > k8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. cka 시험 정리 - 쿠버네티스 기본 사용 (0) | 2025.04.02 |
---|